2014년 11월 16일 일요일

Research 6

Research Example: 

Statistic data about physical beauty
 
Source:
 
http://hikostat.kr/1989


My Topic:

People who are better in physical beauty have more advantages. 

What I hope to learn from this source:


 I want to find the specific statistic data that can help to improve expertiveness on my essay.

Not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루키즘'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루키즘은 외모가 개인 간의 우열과 성패를 가름한다고 믿어 외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현상을 설명한 용어입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외모지상주의'를 일컫는 용어라고 할 수 있어요. 요즘 이러한 현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알바몬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모로 인해 차별이나 부당한 대우를 경험한 적이 있다'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62.1%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66.1%)이 , 여학생(59.4%) 보다 이러한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모지상주의는 여성에게 더 많은 작용한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사뭇 다르게 나타나 외모지상주의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 남학생의 87.6%, 여학생의 92.5% 등 대학생 중 90.5%가 외모에 콤플렉스를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이렇듯 현대 사회에서의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알바몬>


'외모도 경쟁력이다'라는 말에 절반 이상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수한 상황에 따라 동의한다는 응답자까지 합치면 80% 가까운 응답자가 이 말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또한 외모로 인해 상대방에 대한 평가나 판단이 달라진 적이 있는가 하는 질문에는 84.9%나 되는 사람이 그렇다고 대답하였습니다. 이렇듯 외모가 현대사회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알바몬>


이러한 외모지상주의 현상은 현대에 와서 갑자기 성립된 사상은 아닙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심지어 옛 동화에서도 살펴볼 수 있어요. '권선징악' 사상에서도 주인공은 대부분 착하고 아름답게 표현되고 악역은 흉측하게 표현됩니다. '신데렐라', '백설공주', '콩쥐팥쥐' 등에서도 주인공은 전부 예쁘고 착하게 표현됩니다. 또 우리나라 고전 '박씨전'에서 주인공 박씨는 뛰어난 재능과 지혜를 가졌지만 처음 허물을 벗기 전 박색일 때는 능력을 펼치지 못하고 남편에게 사랑도 받지 못하는 여성으로 나옵니다.

예부터 이어온 외모지상주의 현상은 오늘날 '성형수술'이라는 문제점을 낳기도 했습니다. 물론 성형수술 자체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나친 성형중독, 성형수술 부작용 등이 사회 문제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유엔 산하 국제미용 성형수술협회(ISAPS)가 집계한 '국가별 인구 당 성형수술 건수'의 2010년 조사결과 1000명 당 16명 꼴로 성형수술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1위로 등극했습니다. 또한 성형을 원하는 아시아 여성 통계자료에서도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국제미용 성형수술협회(ISAP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사람인>


우리나라가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쓴다는 것은 앞의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비난만 할 수 없는 것은 실제로 취업에서 외모는 중요하게 평가되는 요인이라는 점입니다. 취업포털 사이트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7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66.1%의 기업이 외모가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고 해요. 가장 영향을 미치는 외모 부분에서는 첫 번째가 '인상'으로 84.2%를 차지하였고 그 뒤로는 분위기, 옷차림, 청결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외모에 영향을 받는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외모에 중요성을 두는 이유는 '자기관리가 뛰어날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사람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Final Thoughts:

From this I think I could complete my essay with more concrete reasons:)

댓글 없음:

댓글 쓰기